본문 바로가기
생각들

토론의 개념ㅇㅇ

by 나박이 2024. 12. 25.
728x90

토론이란, 둘 이상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의견이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검증·비교·분석하여 합리적인 결론 또는 합의점을 이끌어내려는 대화 형태를 말합니다. 가벼운 일상 대화부터 공식적인 토론 대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주로 상대의 논거를 분석하고 반박·옹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토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명확한 주제 설정, 객관적 근거 제시, 상호 존중과 경청의 태도 등이 필수적입니다.

  1. 상호 이해와 합의의 과정
    - 토론은 단지 ‘이기는 것’보다는 서로 간의 관점을 공유하고 이해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 주제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진 참여자들이 각각의 논점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공통의 합의점을 찾거나 새롭게 문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력 함양
    - 토론 과정에서 의견을 제시할 때는 논리적인 전개와 타당한 근거가 필요합니다.
    - 상대방의 입장을 분석하고 반박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발달하며, 이는 학문적 연구나 의사결정 상황에서도 큰 도움을 줍니다.
  3.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 습득
    - 토론은 논지 설명, 근거 제시, 반대 의견에 대한 대응 등 언어 능력을 전반적으로 활용하게 만듭니다.
    - 설득력 있는 화법, 상대의 발언을 경청하고 요점을 파악하는 역량 등 의사소통 기술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습니다.
  4. 갈등 조정과 문제해결 기법
    - 조직 내·외부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토론을 통해 대립되는 견해를 조율하고 최적 해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건설적인 토론 문화가 정착될수록, 갈등 상황에서도 대안을 모색하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습니다.
  5. 민주적인 참여와 책임의식 고취
    - 토론은 모두가 의견을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는 민주적 절차의 기본 요소입니다.
    -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책임 있게 설명하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곧 성숙한 사회의 초석이 됩니다.

참고 자료

  • Van Eemeren, F. H., & Grootendorst, R. (2004). A Systematic Theory of Argum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isher, R., & Ury, W. (1981).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Penguin Books.
  • Tannen, D. (1998). The Argument Culture: Moving from Debate to Dialogue. Random House.
728x90